
원가의 추정 : 고저점법 고저점법에서 최고조업도와 최저조업도의 단위당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단위당 변동원가최고 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최저 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최고조업도 - 최저조업도고정원가최고 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단위당 변동원가 × 최고 조업도최저 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단위당 변동원가 × 최저 조업도 풀이)주의사항: 총매출액이 조업도이므로 최고조업도는 6월이고 최저조업도는 4월이다. 변동원가율을 구하여 공헌이익률을 구하고 목표매출액을 공헌이익률법으로 구한다. 누적평균시간학습모형 누적평균학습모형은 생산량이 2배씩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누적평균노동시간이 학습률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 누적생산량에 단위당 누적평균노동시간을 곱하여 누적생산량에 대한 총노동시간을 추정한다..

품질원가 원가관리회계책에서 제일 끝부분에 챕터가 있다. 이 부분은 시험에 잘 안나온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부분이 2021년에 이어서 올해도 출제가 되었다. 단, 2023년도에는 단순한 품질원가 계산이 아닌 에 대해 출제가 되었다. 최근의 출제경향을 보면 동일한 주제가 출제가 되고 있지만, 그 주제에 대해 확실히 이해해야만 풀 수 있는 응용문제가 출제된다는 것이다. 품질원가 부분은 어려운 부분은 아니므로 가지고 가자. 통제원가 실패원가 예방원가 평가원가 내부실패원가 외부실패원가 공급업체(납품업체) 평가 신재료테스트 품질교육훈련 원재료검사 완제품검사 제품품질검사 공손품 불량품 폐기 공정중단 (공손품) 재작업 A/S(보증수리) 손해배상 회사이미지훼손 반품 재작업 고객서비서센터 운영 예제) 더보기 풀이) 활동 ..

목차제조원가의 흐름개별원가계산정상개별원가계산종합원가계산결합원가계산표준원가계산 원가회계 계산방법의 분류 제조원가의 흐름원재료 → 재공품 → 제품 (차변) 당기총제조원가 = 직접재료원가(DM) + 직접노무원가(DL) + 제조간접원가(OH)(대변)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원가 + 당기총제조원가 - 기말재공품원가 매출원가 = 기초제품재고액 +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말제품재고액 예제 1) ★★★(2019, CTA) 더보기풀이)기초원가(prime cost) = DM + DL전환원가(conversion cost) = DL + OH ① 원재료 계정에서 당기 매입이 83,000이므로, 원재료 사용은 (27,000+83,000) - 9,000 = 101,000이다. (★바로 83,000으로 계산하지 않도..

보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 배부보조부문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구분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일배분율법과 이중배분율법이 있다. 배부기준단일배분율법실제사용량이중배분율법(변동원가)실제사용량이중배분율법(고정원가)최대사용량 복수의 보조부문이 존재하는 경우, 직접배분법과 단계배분법, 상호배분법 방식이 있다. 예제) 단일배분율법과 이중배분율법의 비교더보기풀이) 동력부문절단부문배분된 원가단일배분율법( 실제사용량)540,000 5 :3540,000 × 5/8=337,500이중배분율법(실제사용량)240,000(변동OH) 5 :3240,000× 5/8 =150,000이중배분율법( 최대사용량)300,000(고정OH) 5 :5150,000 단계배분법 단계배부법은 보조부문의 순서를 정하여 그 순서에 따라 ..

예제 ) 기초재공품의 전환원가 완성도 풀이) 평균법 완성품환산량기초재공품 완성품환산량선입선출법 완성품환산량재료원가87,000단위 =40,000단위 +47,000단위전환원가35,000단위 =10,000단위 +25,000단위기초재공품 재료원가의 완성품환산량은 40,000단위이므로40,000단위 x 전환원가 완성도 = 10,000단위∴ 전환원가 완성도 = 25% 예제 ) 기말재공품의 전환원가 완성도 풀이)재공품 (평균법)재료원가전환원가기초당기완성 15,000 (1, 1)기말 5,000 (1, 0.6)15,000 5,00015,000 3,000 20,00018,0005,000단위 x 전환원가 완성도 = 3,000단위∴ 전환원가 완성도 = 60% ..

제한된 자원(제약자원)이 하나인 경우에는 제품단위당 공헌이익이 큰 제품에 제약자원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약자원단위당 공헌이익이 큰 제품에 제약자원을 먼저 사용하여야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예제 1) (주)종로는 A제품과 B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별 자료는 다음과 같다. A제품 B제품 단위당 판매가격 620 440 단위당 직접재료원가 200 140 단위당 직접노무원가 150 100 단위당 변동제조간접원가(기계시간당 배부율 40원) 120 80 단위당 변동판매관리비 30 20 수요량 2,000단위 3,000단위 고정제조간접원가와 고정판매관리비는 각각 500,000과 100,000원이다. (주)종로는 범용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이용할 수 있는 기계시간은 9,000..

CVP 분석 공헌이익률공헌이익률 = 1 - 변동원가율*변동원가율 = 변동원가(VC) / 매출액(S) (= v / p) 매출액 = 변동원가(VC) / 변동원가율*CM = S x cmr (BEP에선 CM =FC이므로, FC = S x cmr ) 손익분기점(BEP) 판매량 ① [ 영업이익 = 0 ] 인 판매량이다. ② [ 공헌이익 = F ]인 판매량이다. cm x Q = F -----> 공헌이익 = 고정원가 (당장 팔아서 생기는 공헌이익으로 고정비를 회수할 수 있다) BEP(Q) : CM = FC → FC = cm x Q → Q = FC / cm BEP(S)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