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한된 자원(제약자원)이 하나인 경우에는 제품단위당 공헌이익이 큰 제품에 제약자원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약자원단위당 공헌이익이 큰 제품에 제약자원을 먼저 사용하여야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예제 1)

(주)종로는 A제품과 B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별 자료는 다음과 같다. 

  A제품 B제품
단위당 판매가격 620 440
단위당 직접재료원가 200 140
단위당 직접노무원가 150 100
단위당 변동제조간접원가(기계시간당 배부율 40원) 120 80
단위당 변동판매관리비 30 20
수요량 2,000단위 3,000단위

고정제조간접원가와 고정판매관리비는 각각 500,000과 100,000원이다. (주)종로는 범용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이용할 수 있는 기계시간은 9,000시간이고, 제조간접원가의 배부기준으로 기계시간을 적용하고 있다. 

 

1) (주)종로는 예상하지 못한 해외기업으로부터 A제품 1,200단위를 단위당 590원에 구입하고자 하는 특별주문을 받았다. 특별주문을 수락하는 경우의 기회비용을 계산하고 특별주문의 수락여부를 결정하시오.

 

2) 제품단위당 4시간의 기계시간이 소요되는 C제품을 추가로 생산하고자 할 때, C제품의 단위당 최소판매가격을 계산하시오. 단, C제품의 단위당 변동원가는 280원이다. 

풀이)

1)

더보기

① 특별주문에 필요한 기계시간: 1,200단위 x 3시간 = 3,600시간

② 특별주문에 대한 기회비용과 의사결정

증분수익
증가 특별주문 매출 1,200단위 x 590 =  708,000
감소 기존 A제품 매출 1,000단위 x 620 = 
기존 B제품 매출 300단위 x 440 =
(620,000)
(132,000)
증분비용
증가 특별주문 변동원가 1,200단위 x 550 =  (600,000)
감소 기존 A제품 변동원가 1,000단위 x 500 =
기존 B제품 변동원가 300단위 x 340 = 
500,000
102,000
증분이익   (42,000)

증분이익이 42,000원 감소되므로 특별주문을 거절한다. 

 

 

2) C제품을 추가로 생산하기 위한 최소판매가격

  A제품 B제품 C제품
단위당 판매가격 620 440 p
단위당 변동원가 500 340 280
단위당 공헌이익 120 100 p - 280
단위당 제약자원(기계시간)  / 3시간 / 2시간 / 4시간
제약자원단위당 공헌이익 40 50 (p - 280) / 4시간

C제품의 제약자원단위당 공헌이익이 후순위인 A제품의 제약자원단위당 공헌이익보다 큰 경우일 때에만 C제품이 A제품보다 먼저 생산될 것이다. 

(p - 280) / 4시간 ≥ 40                    ∴ p   440/단위

 

 

예제 2)

풀이)

 

 

 

예제 3)

 

풀이)

 

 

예제 4)

(2019, CTA)

풀이)

(1) 1단위당 변동원가: 240,000 / 4,000단위 = 60원 / 단위

(2) 1묶음당 변동원가: 80,000/ 80묶음 = 1,000원 / 묶음 (4,000단위 / 50단위 = 80묶음)

(3) 특별주문 1,500단위에 필요한 묶음의 수:  1,500단위 / 100단위 = 15묶음

정규시장 판매량 500단위 감소로 인해 감소되는 묶음의 수 :  500단위 / 50단위 = 10묶음

 

증분수익       증가      특별주문 S 1,500단위 x 130                      =   195,000

                      감소      정규판매 S 500단위 x 200                        =  (100,000)

증분비용       증가      특별주문 단위당 변동원가   1,500단위 x 60 = (90,000)

                                   특별주문 묶음당 변동원가   15묶음 x 1,000 = (15,000)

                      감소      정규판매 단위당 변동원가    500단위 x 60    = 30,000

                                   정규판매 묶음당 변동원가    10묶음 x 1,000 = 10,000

--------------------------------------------------------------------------------------------------------

증분이익                                                                                              30,000원

 

 

 

(참고도서: 원가관리회계, 이장규)

'원가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원가  (0) 2023.11.06
원가회계  (0) 2023.11.04
보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 배부  (0) 2023.11.01
종합원가계산  (0) 2023.04.14
CVP 분석  (0)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