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승수효과
영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칸(Richard Kahn)과 케인즈(Keynes) 등은 대공황이 진행되던 1930년대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 이론을 정립했다.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 일반적으로 ‘승수(乘數)효과’에 따라 경제성장률이 오른다. 승수효과란 정부지출이 1원 늘어날 때 국민소득이 얼마 늘어나는지 나타내는 개념이다. 승수효과가 2라면 정부지출이 100억원 늘어날 때 GDP가 200억원 증가하는 식이다.
승수효과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Y (국민소득, 총수요) = C (가계의 소비) + I (기업의 투자) + G (정부지출) + (X-M)(순수출)
위 공식으로부터 도출되는 승수는 다음과 같다.
정부지출승수(dY / dG) = 1 / 1- c
조세승수(dY / dT) = - c / 1 - c
통상적으로 사람들의 소비성향은 1보다 작다. 만약 정부가 저소득층에게 생계비를 10억 원을 지원하는 경우, 저소득층의 소비성향이 0.8이라면 총수요는 8억원만큼 증가한다.
정부지출승수가 조세승수(절댓값)보다 크기 때문에 조세가 감면될 때보다 동액의 정부지출이 증가하면 총수요가 더 크게 증가한다. 그리고 조세가 감면될 때 동액만큼 정부지출이 감소하면 총수요가 감소하게 된다.
예제)
더보기
Y = 1,000 + 0.6Y - 600 + 1,000 + 1,000
0.4Y = 2,400
Y = 6,000
완전고용국민소득이 7,000이므로, 완전고용국민소득에 도달하려면 국민소득이 1,000만큼 증가해야 한다.
한계소비성향이 0.6이므로 정부지출승수 dY/dG = 1/1-c = 2.5이고, 조세승수 dY/dT = -c/1-c= -1.5이다.
그러므로 완전고용국민소득에 도달하려면 정부지출을 400만큼 증가시키거나, 조세를 667만큼 감면해야 한다.
풀이)
재정은 균형상태이므로 T = G 이다.
Y = C + I + G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아래와 같다.Y = 1,000 + 0.6Y - 600 + 1,000 + 1,000
0.4Y = 2,400
Y = 6,000
완전고용국민소득이 7,000이므로, 완전고용국민소득에 도달하려면 국민소득이 1,000만큼 증가해야 한다.
한계소비성향이 0.6이므로 정부지출승수 dY/dG = 1/1-c = 2.5이고, 조세승수 dY/dT = -c/1-c= -1.5이다.
그러므로 완전고용국민소득에 도달하려면 정부지출을 400만큼 증가시키거나, 조세를 667만큼 감면해야 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세의 경제적 효과 - 누진세, 법인세, 소득세 (0) | 2023.11.13 |
---|---|
부(-)의 소득세, 선형누진세 (0) | 2023.05.10 |
사업별 비용편익분석 (0) | 2023.04.30 |
소득분배 불평등도 : 로렌츠곡선, 지니계수, 소득5분위배율, 10분위배율, Atkinson지수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