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확정급여제도 적용이 포괄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될까?
예제 1)
풀이)
문제에서 기말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순확정급여부채값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1) 기말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670,000(기말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100,000(기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된 순확정급여부채) = 770,000
2) 기말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770,000)
= 700,000(기초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35,000(이자비용)
+ 73,000(당기근무원가)
- 68,000(퇴직금지급액)
+ 30,000(보험수리적손실)
(※보험수리적손익이란 확정급여채무와 관련된 재측정요소를 의미한다.)
3) 기말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670,000)
= 600,000(기초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30,000(이자수익)
+ 90,000(기여금 출연)
- 68,000(퇴직금지급액)
+ 18,000(재측정요소)
4)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 35,000(이자비용) + 73,000(당기근무원가) - 30,000(이자수익) = 78,000 감소
5) 기타포괄이익에 미치는 영향 = 30,000(보험수리적손실) - 18,000(재측정요소) = 12,000 감소
※간편법: 순확정급여부채 t계정을 그려서 푼다.
예제 2) 기초의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와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가 주어지지 않고, 순확정급여부채가 주어지는 경우엔 퇴직급여 관련 비용을 어떻게 구할까?
풀이)
순확정급여부채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부채를 증가시키면 (+)로 가산하고, 자산을 증가시키면 (-)로 차감한다.
1) 20X1년 말 순확정급여부채
: 20,000(기초 순확정급여부채)
+ 1,200(순이자)
+ 85,000(당기근무원가)
- 60,000(사외적립자산 출연)
+ 2,800(재측정요소 순액)
= 49,000
(*퇴직종업원에게 지급한 현금은 부채와 자산에 동일한 금액이 반대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순확정급여부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퇴직급여관련비용(당기손익)
= 1,200(순이자) + 85,000(당기근무원가) = 86,200
(당기손익만을 구하면 되므로, 바로 순이자와 당기근무원가를 합해도 된다.)
※간편법: 순확정급여부채 t계정을 그려서 푼다.
예제 3)
풀이)
문제에서 20x1년도에 인식할 퇴직급여란 확정급여제도에서 당기손익을 말한다.
순확정급여부채 (20x1) | |
기여금 400,000 기말(PV-FV) 130,000 |
기초(PV-FV) 40,000 당기근무원가 450,000 순이자원가 6,000 |
530,000 | 496,000 |
재측정손실(순액) 34,000 |
1) 기초 순확정급여부채 : 600,000 - 560,000 = 40,000
2) 순이자원가: 40,000(기초 순확정급여부채) x 15% = 6,000
3) 기말 순확정급여부채 : 1,050,000 - 920,000 = 130,000
다음은 기말 순확정급여부채값을 모르고, 기중에 금액의 변동이 있는 경우,
이자금액도 월할해서 계산해주어야 하는 경우이다.
예제 4)
풀이)
기말값이 안 주어졌으므로, 순확정급여부채 T계정을 만들고, 순이자원가를 월할로 계산한 다음,
대차대조를 통해 기말 순확정급여부채값을 구한다.
순확정급여부채 (20x1) | |
기여금 60,000 기말(재측정전) 256,500 |
기초(PV-FV) 180,000 당기근무원가 120,000 순이자원가 16,500 |
순이자원가: (180,000 x 12/12 - 60,000 x 3/12) x 10% = 16,500
다음의 예제는 위의 문제들과 다르게 당기손익(NI)과 기타포괄이익(OCI)을 각각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총포괄이익(NI+OCI)을 물어보고 있다. 따라서 일일이 한 줄씩 계산하면서 풀지 않고 간단하게 풀 수 있는 경우이다.
예제 5)
풀이)
총포괄이익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자본의 변동사항만을 체크하여 구할 수 있다.
기초와 기말의 장부값이 주어졌으므로 B/S 변동사항은 다음과 같다.
(기말 B/S 변동)
사외적립자산 20,000 증가 현금 120,000 감소 |
확정급여채무 200,000 증가 |
자본 300,000 감소 |
1) 문제에서 주어진 기초과 기말의 차이를 통해, 사외적립자산은 20,000증가, 확정급여채무는 200,000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 퇴직금 지급과 당기근무원가는 차변과 대변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자본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
3) 9월1일(기중)에 사외적립자산에 120,000을 현금으로 출연: 그만큼 현금이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비용)
따라서 총포괄이익 300,000이 감소했다. *
기초순부채: 300,000(+)
현금지급: 120,000(-)
기말순부채: 480,000(+)
----------------------------------
총포괄손익: (-)300,000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 저가법 (0) | 2023.04.10 |
---|---|
유형자산 (0) | 2023.04.09 |
재고자산, 재고자산회전율 (0) | 2023.03.28 |
주당이익 (0) | 2023.03.27 |
금융리스의 회계처리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