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저가법이란 원가법에 의한 계산액과 시가법에 의한 계산액을 대비하여 그 중 낮은 가액을 재고상품가액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평가손실은 계상하나 평가이익은 계상치 않는다는 회계보수주의에 의한 평가방법이다.
재고자산을 과거에 사온 금액(취득원가)과 실제로 팔아서 남길 수 있는 금액(순실현가능가치:NRV) 중 적은 금액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저가법: min [ 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 ]
예제 1)
풀이)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기초+당기매입) - 기말재고 저가 - 비정상감모손실(기타비용)
1) 당기 판매가능재고 원가: 0(기초) + 200단위 × 1,000 +200단위 × 2,000 = 600,000
2) 기말 상품 저가 : ① + ② = 161,000
① 상품 A : 20개(확정) × Min[1,000, 900] + 10개(일반) × Min[1,000, (1,300 - 300)] = 28,000
② 상품 B : 70개 × Min[2,000, (2,200 - 300)] = 133,000
3) 비정상감모손실: ① + ② = 24,000
① 상품 A : (50개 -30개) × 30% × 1,000 = 6,000
② 상품 B : (100개 - 70개) × 30% × 2,000 = 18,000
(*감모손실을 계산할 때는 취득원가로 계산한다.)
4) 매출원가 : 600,000 - 161,000(기말저가) - 24,000(비정상감모) = 415,000
예제 2)
풀이)
※ 문제에서 당기순이익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자본의 변동사항만을 구하면 된다.
당기순이익 : 9,,000,000
1) 젖소 : [취득: 5,200,000 -> 평가: 5,100,000 ] : 100,000원 손실
5마리 × (100,000) = (500,000)
2) 우유: 판매 [10,000 -> 판매: 9,000] : 9,000원 이익
500리터 × 9,000 = 4,500,000
미판매 [10,000, NRV: 11,000 ] => 재고자산의 저가법
500리터 × 10,000 = 5,000,000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0) | 2024.11.29 |
---|---|
복합금융상품 :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0) | 2023.08.17 |
유형자산 (0) | 2023.04.09 |
확정급여채무, 사외적립자산, 순확정급여부채 (2) | 2023.03.29 |
재고자산, 재고자산회전율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