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회계학 콘서트] by 하야시 야츠무

 

재무상태표(B/S) & 포괄손익계산서 (I/S)

 

재무상태표 (Financial statement)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포괄손익계산서
자  산 부  채 I. 매출액                                     XXX
II. 매출원가                                 XXX
---------------------------------------------------
III. 매출총이익                             XXX
IV. 판매비와 관리비                     XXX
V. 영업이익                                  XXX
VI. 영업외수익                             XXX
Vll. 영업외비용                             XXX
--------------------------------------------------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영업이익   XXX   
IX. 계속영업번인세비용                XXX
X.  계속영업이익                           XXX
XI. 중단기영업손익                       XXX
XII. 당기순이익                              XXX
XIII. 기타포괄손익                         XXX
XIV. 총포괄이익                            XXX
I. 유동자산               XXX
    당좌자산              XXX
    재고자산               XXX
II. 비유동자산           XXX
    투자자산               XXX
    유형자산               XXX
    무형자산              XXX
    기타비유동자산    XXX

I. 유동부채                           XXX
II. 비유동부채                       XXX
--------------------------------------------
     부채총계                         XXX  
자  본
I. 자 본 금                               XXX
II. 이익잉여금                         XXX
III. 기타자본구성요소             XXX
---------------------------------------------
     자본총계                            XXX
    자산총계                XXX 부채와 자본총계                      XXX

 

위 표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재무상태표 등식 : 자산 = 부채 + 자본
포괄손익계산서 등식: 이익 = 수익 - 비용

 

영업이익에서 법인세를 차감하면 당기순이익이 된다.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에 가산하게 되어 자본총계가 늘어난다. 

 

 

재무분석

 

기업 활동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로 구성된다.

 

1. 건전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는 것(재무상태표)

2. 투하된 자금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는 것(손익계산서)

 

그러므로 재무분석은 크게 재무건전성 분석과 수익성 분석 두 가지로 나뉜다.

 

또한 분류상으로는 수익성 분석에 포함되지만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통합한 지표로 '총자본이익률(ROI)'이 있다.

 

ROA와 ROE

 

ROA(Return on Assets)는 재무상태표의 왼쪽, 즉 자산이 얼마나 이익을 창출했는지 측정하는 지표로 이 수치를 통해 경영자의 수완을 판단할 수 있다.

 

총자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총자산

 

ROE(Return on Equity)는 주주의 시점에서 투자를 판단할 때 이용하는 지표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ROE = ROA * 재무레버리지

 

이 식에서 ROE를 높이려면 ROA를 높이는 동시에 차입금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좀 더 많이 차입하여 좀 더 많이 이익을 내는 회사가 주주에게 높이 평가받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ROE만 추구하는 경영은 경영자로서 본말이 전도된 경우다. 정말 중요한 것은 자금을 지혜롭게 운용하여 이익을 내는 일이다.

 

손익계산서는 회계학과 2학년생도 분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출 계상과 입금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상관습을 역이용. 한 회사는 상장하기 6년 전부터 전표상으로만 존재하는 매매를 하기 시작. 회사는 발주서와 검수서 등의 전표, 반도체 제조장치의 출하증명서나 납세증명서를 위조. 현금회수가 늦다는 업계의 특성을 역이용한 것. 또한 거래처를 모두 해외기업으로 설정하여 해외에 개설한 장부외계좌에서 실재하는 해외 반도체 제조업체의 명의로 자사의 계좌에 돈을 송금해 매출대금을 회수한 듯이 보이게끔 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를 그대로 믿는것이 얼마나 위험한지에 대해 피터 드러커는 이미 경고했다

 

연결재무제표에 속지 마라

 

연결재무제표뿐 아니라 개별재무제표도 함께 분석해야 한다.

 

재고는 막대한 자금을 묶어두어 시간을 소모한다.

 

드러커는 말한다. " 활동기준 원가계산이나 새로운 원가계산 방식에서 최종 제품의 재고는 매몰비용이다. 재고 상태의 제품은 아무것도 창출하지 못한다. 오히려 값비싼 자금을 묶어놓고 시간을 소모한다. 시간은 비용상 가장 값비싼 것이다. 새로운 원가계산은 재고에 관해서도 그 편익을 시간 비용에 따라 평가 측정한다."